2025. 4. 19. 23:08ㆍ카테고리 없음
1. 항공물류의 발달
최초의 항공화물 운송: 1910년 11월 7일
라이트형제가 만든 모델 B – 오하이오주 데이톤에서 콜럼버스(115km)까지 운송
조종사는 Phillip Orin Parmelee였고 비단꾸러미 10개(88kg)를 운송. 비행시간 71분 시속 100km
최초의 항공우편 배달: 1911년 9월 23일
Earle L. Ovington은 미국 최초로 항공우편을 배달
2000통 편지와 우편엽서를 Long Island ~ Mineola,NY
1920년대 항공화물운송에 기지개
1920년대 후반에 항공사들은 미국대륙을 비행하며 화물을 운송
1940~50년대
1941 이전
항공화물, 우편, 여객운송은 분리되지 않음
2차세계대전 참전용사들에 의한 소규모 항공화물운송사들이 생겨남
정부의 잉여항공기를 구매하거나 임대할 수 있는 특별한 혜택을 부여
경제적 이벤트
관세와 무역에 관한 일반협정 (GATT)
미국, 영국을 비롯한 23개국이 관세 및 그 밖의 무역장벽을 실질적으로 감축하고 국제상거래에 있어서의 차별적 대우를 철폐할 것을 지향하는 상호적이고 호혜적인 약정을 체결
유럽경제공동체 (EEC)
1960년대
1963년 화물전용제트기 등장
C8-50/55F
탑재용량(Payload) 40~42톤
최대비행거리(Range) 5600km
B707F
탑재용량(payload) 42톤
최대비행거리(Range) 4800km
DHL
1969년, 샌프란시스코와 하와이 호놀루루 간 문서 전달을 위해 설립
1988년, Deutsche post는 DHL의 주식을 인수하기 시작
2001년, 과반의 소유권을 갖게 되었으며 2002년에는 100%소유권 확보
1970년대
70년대의 주요 특징
높은 물가상승률
높은 경제성장률
1973년, 아랍석유금수조치
1979년, 유럽경제공동체(ECC)에서 유럽통화시스템을 도입
항공화물서비스를 위한 대규모 항공사 등장
FedEx는 Fred Smith에 의해 설립(1971)
1980년대
유가의 변동
Just-in-Time 개념이 도입
주요 경제사항
1981년 걸프 아랍국협력회의
미국과 캐나다 자유무역협정
1982년, 미국-유럽 사이에 민간항공회의 협정체결
1990년대
서비스 증가 재고감소
정치경제적 환경
유럽연합(1992), 북미자유협정(1994), 세계무역기구(1995)
아시아는 1998년 태국의 통화붕괴 이후 침체를 겪었으나, 성장률은 지속적으로 상승
21세기
글로벌 경제는 21세기초에 약세로 출발
2002년 유로화 개시
항공부문에 영향을 준 주요사건
911테러
공항의 새로운 규정 도입 등
2. 항공물류와 국제교역
무역
무역(교환): 재화, 서비스, 상품 등을 사고 파는 비즈니스
국제 무역: 국경이나 영토를 넘나드는 자본, 상품, 서비스의 교환
항공물류의 필요성: 매우 중요한 글로벌 운송수단으로서의 항공
항공화물운송이 차지하는 국제교역물량은 약 1%
그러나 가치 기준으로는 약 35%
항공화물 운송시장의 규모는 2022년 기준 255조(화물 총가치의 3%)
연간 5200만톤 항공 화물을 운송
연간 약 8600조의 화물을 운송(하루에 약23조)
항공물류 & 국제무역
국가간 구매 및 판매활동
조달(sourcing): 원자재 구매
마케팅(marketing): 상품의 판매
항공을 통한 글로벌 거래
수입 … 수입물류(inbound logistics)
수출 … 수출물류(outbound logistics)
항공에 의한 상품의 지리적 이동
시간에 민감한 상품을 운송
항공운송의 4대 원칙
속도 à OK
정확 à OK
안전 à OK
경제 à NOT (빠른 배송이 가장 중요한 요소)
항공화물의 유인력
기업의 글로벌화 à 지리적 입지의 다양성
낮은 재고비용 생산모델 (Lean program, JIT)
짧은 제품의 생애주기
글로벌 생산거점의 다변화
국경간 전자상거래
공항의 개발, 항공교통서비스 및 여객서비스 개선 등
총비용 개념
비용 상쇄(cost trade-off)인식

종합적으로 최적화된 관리
항공화물서비스
항공사에 의한 항공화물 서비스 종류
직항서비스(Direct Service)
중간 기착공항 없이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의 직항 서비스
온라인서비스(Online Service)
동일한 항공사의 항공기로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운송하는 서비스로, 중간에 기착을 하는 경우에도 동일한 항공기를 통해 목적지까지 화물을 운송
연계서비스(Interline Service)
여러 항공사에 의해서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화물을 운송하는 서비스
항공사간 화물의 이동이 발생 (환적 transfer)
Transit = Direct Transfer à Online (하나의 항공기로 목적지까지)
Transfer à Interline (여러 항공기로 목적지까지)
항공화물서비스의 장단점
장점 : 정시성 운항 – 적절한 운항회수
안전성 – ULD를 이용한 운송, 짧은 운송시간
경제성 – 포장, 보험, 통신 등의 간접비용을 절감. 재고비용이 없어 합리적인 총물류비
야간에도 작업을 진행 – 공항의 비혼잡시간대 활용
효율적 스케줄 편성 – 네트워크를 자유롭게 구축
단점 : 공항과 공항만 연결
높은 요율 – 최소요금과 단위요금 적용
제한된 화물만 취급 – 규격범위의 화물만 운송, 적은 적재용량
위험물 수송의 제한 – 위험물 품목 제한 및 절차
운항시간 – 정규운항시간표에 따름 (Flexibility X)
제한된 노선 – 인가된 노선에서만 운한 (왕복 채워서 오기 어려움, so Belly카고 이용)